올해도 사업자 현황신고 안내가 왔다.

아내 명의로 임대사업자를 내고 물건을 등록 중이라 올해도 신고 해야한다.

 

 

우리의 경우에는 다 - 2 유형 (2주택)

서울 갭투 물건 하나와 다산 임대 물건 하나이다.

 

 

홈택스로 요렇게 신고하면된다.

 

 

 

 

홈택스 사업자로 들어가서 -> 증명등록신청 -> 소득법인세 관련 신청신고 -> 사업자현황 신고/내역조회

 

 

 

사업자등록번호에 확인을 누르면 기본 정보가 입력되어지고, 나머지 정보들만 채운 후 저장하기 

 

(과세기간은 작년 (2024년) 이므로 자동 입력되어져있음)

 

 

임대사업자로 임대를 준 물건을 등록해야한다. 검토표에 작성하기 클릭!

 

 

 

위에 "등록임대주택 요건충족기간"이란?

등록임대주택 요건충족기간이란
2024년 과세기간 주택임대수입금액이 2천만원 이하이고 아래 등록임대주택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기간(모두 충족하는 기간이 없는 경우 입력 생략)<등록임대주택의 요건 ☞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함>세무서 사업자등록지자체 임대사업자등록임대보증금 또는 임대료 증가율 5% 이하
ex) 임대기간은 2024.1.1. ~ 2024.12.31.이나, 해당 주택에 대해 ① 2023.7.1. 에 세무서 사업자등록, ② 2024.4.1. 에 지자체 등록, ③ 2024년 중 임대료 증가율 5% 이하 계속 유지한 경우 → 등록임대주택 요건충족기간은 임대기간 중 모든 요건이 충족된 기간인 2024.4.1. ~ 2024.12.31. 임
임대기간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지자체 및 세무서에 등록한 등록임대기간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임대사업자로 기등록이되어있고 임대률 5% 이하로 유지되어있어서. 작년 임대 기간을 그대로 넣으면 됨.

 

 

보증금 등의 수입금액이란?

 

부부합산 3주택 이상이면 계산해서 넣어야 한다...

 

 

주택임대사업자 수입금액 검토표도 작성완료.

 

오른쪽하단에 이대로 신고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신고완료!

 

 

 

 

 

 

Q.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주택 임대차 계약의 신고 또는 주택임대차 계약의 변경 및 해제 신고를 하지 않거나(공동신고를 거부한 자를 포함) 그 신고를 거짓으로 한 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제28조제5항제3호).

※ 시행일로부터 계도기간(`21.6.1~`24.5.31)중에는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국토교통부 “주택 임대차 신고제, 계도기간 1년 연장” 2023. 5. 16. 보도자료 참조].
 

주택임대차 > 주택임대차 계약 > 임대차계약 >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전월세신고제) (본문) |easylaw.go.kr
임대차 신고 기한 초과 시 처벌 여부
Q. 임대차 신고는 별도 신고기한이 있나요? 기한을 초과하면 처벌도 있나요? 

A. 임대차 신고의 신고기한은 계약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이며, 신고기한을 초과할 경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에 해당됩니다. 계약서 작성 이전이라도 임대료, 임대기간, 주택 등이 확정되어 당사자 간 임대차 계약의 합의 후 (가)계약금이 입금되었다면, (가)계약금 입금일을 기준으로 30일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

[국토교통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https://rtms.molit.go.kr)-자주하는 질문-참조]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가 필수로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24.5.31 까지는 계도기간이라 과태료가 부과되지는 않지만요.

 

부동산에서 전월세 계약을 하게 되면, 

주로 임차인이 주민센터(동사무소)가서 계약서를 보여주고 확정일자를 받게되는데요,

 

이 확정일자 받는 것이 동사무소를 안가고,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https://rtms.molit.go.kr/) 을 통해서 신고를 하고 확정을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거래 계약서 스캔본 (카메라 촬영도 가능하지만 깨끗하게..) 만 있으면 됩니다.

 

 

해당 화면에서 "주택임차계약신고"

 

로그인인 안되어 있다면, 간편로그인도 가능하니 로그인해주세요.

 

 

주택임대차계약 작성1
주택임대차계약 작성2

 

 

어려운 내용없고, 계약서 보시면서 필수값들 하나씩 기입하시면 됩니다.

갱신계약일 경우 계약갱신 요구권 행사 여부 이런 거 잘 체크해주시면 되고요,

임차인/임대인 모두 추가해서 입력해주시면되요.

 

 

모두 작성완료를 하시고, 확인을 하시면요,

 

 

임대차신고 현황조회

 

이렇게 신청에 대한 이력이 보입니다.

 

처음 접수를 하시게 되면 저기 진행상태가 "접수완료" 요렇게 보이실 거에요.

 

그리고 카카오 알림톡으로 접수됐다는 알림톡이 오고요,

 

이 상태에서는 주민센터 담당자분이 확인하시게 되고, 

최종 확인 후 등록이 되면 ,

"승인완료" 로 바뀌게 되고,

 

완료되었다는 알림톡이 온답니다.

 

그리고 저기 계약 필증을 확인하면,

확정일자번호도 모두 나와있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간편하게 신고하시고 확정일자 받으시길 바랍니다!

 

Raspberry Pi 5 64bit

 

Download

mediamtx_v1.10.0_linux_arm64v8.tar.gz

 

Mediamtx.yaml

paths:
   cam1:
     runOnInit: bash -c 'rpicam-vid -t 0 --camera 0 --nopreview --codec yuv420 --width 640 --height 360 --inline --listen -o - | ffmpeg -f rawvideo -pix_fmt yuv420p -s:v 640x360 -i /dev/stdin -c:v libx264 -preset ultrafast -tune zerolatency -f rtsp rtsp://localhost:$RTSP_PORT/$MTX_PATH'
     runOnInitRestart: yes

 

 

http://[라즈베리파이IP]:8889/cam1

 

참고

https://github.com/Nerdy-Things/raspberry-pi-5-live-stream/

 

GitHub - Nerdy-Things/raspberry-pi-5-live-stream

Contribute to Nerdy-Things/raspberry-pi-5-live-strea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서비스 등록]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ll
total 58524
-rw-r--r-- 1 neptune neptune     1062 Dec  3 18:14 LICENSE
-rwxr-xr-x 1 neptune neptune 40911393 Dec  3 18:16 mediamtx
-rw-r--r-- 1 neptune neptune 18973721 Dec  3 18:17 mediamtx_v1.10.0_linux_arm64v8.tar.gz
-rw-r--r-- 1 neptune neptune    28721 Dec 30 13:11 mediamtx.yml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mkdir /opt/mediamtx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cp mediamtx mediamtx.yml /opt/mediamtx/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nano /etc/systemd/system
system/      system.conf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nano /etc/systemd/system
system/      system.conf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nano /etc/systemd/system/mediamtx.service

 

mediamtx.service

[Unit]
Wants=network.target

[Service]
ExecStart=/opt/mediamtx/mediamtx /opt/mediamtx/mediamtx.yml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nano /etc/systemd/system/sshd.service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nano /etc/systemd/system/mediamtx.service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systemctl enable --now mediamtx
Created symlink /etc/systemd/system/multi-user.target.wants/mediamtx.service → /etc/systemd/system/mediamtx.service.
neptune@raspberrypi:~/dev/mediamtx $ sudo systemctl status mediamtx
● mediamtx.service
     Loaded: loaded (/etc/systemd/system/mediamtx.service; enabled; preset: enabled)
     Active: active (running) since Thu 2025-01-02 11:02:14 KST; 6s ago
   Main PID: 6680 (mediamtx)
      Tasks: 33 (limit: 4756)
        CPU: 1.423s
     CGroup: /system.slice/mediamtx.service
             ├─6680 /opt/mediamtx/mediamtx /opt/mediamtx/mediamtx.yml
             ├─6687 bash -c "rpicam-vid -t 0 --camera 0 --nopreview --codec yuv420 --width 640 --height 360 --inline --listen -o - | ffmpeg -f rawvideo -pix_fmt yuv420p -s:v 640x360 -i /dev/stdin -c:v libx264 -preset ultrafast -tune zerolatency -f rtsp rtsp://localhost:8554/cam1"
             ├─6691 rpicam-vid -t 0 --camera 0 --nopreview --codec yuv420 --width 640 --height 360 --inline --listen -o -
             └─6692 ffmpeg -f rawvideo -pix_fmt yuv420p -s:v 640x360 -i /dev/stdin -c:v libx264 -preset ultrafast -tune zerolatency -f rtsp rtsp://localhost:8554/cam1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80]: 2025/01/02 11:02:15 INF [RTSP] [session 872d583c] created by [::1]:35446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80]: 2025/01/02 11:02:15 INF [RTSP] [session 872d583c] is publishing to path 'cam1', 1 track (H264)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92]: Output #0, rtsp, to 'rtsp://localhost:8554/cam1':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92]:   Metadata: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92]:     encoder         : Lavf59.27.100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92]:   Stream #0:0: Video: h264, yuv420p(progressive), 640x360, q=2-31, 25 fps, 90k tbn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92]:     Metadata: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92]:       encoder         : Lavc59.37.100 libx264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92]:     Side data:
Jan 02 11:02:15 raspberrypi mediamtx[6692]:       cpb: bitrate max/min/avg: 0/0/0 buffer size: 0 vbv_delay: N/A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22.x | sudo -E bash -

Monolith

Microservice

Monolith
1.명사 단일 암체, (특히 고대의) 거대한 돌 기둥[거석]2.명사 (변화가 느리고 개개인에게 무관심한) 거대한 단일 조직[사회]
Microservice
[Noun] (computing) A small independent process that communicates with other processes, used to break down a complex task into many simpler components.

 

모놀로식, MSA... 아키텍처 설계 관련해서 정해야 할때가 되면, 

서로 경험해온 방식이 달라서 그런지 다양한 의견이 나온다.

 

사실 정답은 없지만, 

누군가는 정해야지, 배가 산으로 가질 않는다.

 

개발자로, 스타트업에서 CTO 로 경험해 본 입장에서,

어떤 것이 좋은지(?) 생각해 보면,

사업할 수 있도록 결과물이 나와주기만 하면 되기에,

결과적으로는 빨리 나올 수 있는게 좋은 거라고 생각이 된다.

 

개발자 입장으로 보면,

먼저.. 중복되는 걸 싫어하고, 자꾸 쪼개고 싶어한다..

이후에 운영하면서 유지보수 할 생각에 코드를 더 간결하게 짜고 싶어진다..

그리고 뭔가 새로 나온 기술들을 경험하고 싶어하고..

아무래도 모놀리식은 기존 방식이고 Microservice는 트렌드이니,

후자쪽으로 하고 싶어한다.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사실 서비스가 빨리 나와서 돌아가는게 중요하지,

뭐가 쪼개져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돌아가던지 말던지,

별 중요하지 않다...

서비스가 성공해야 이후에 기능이 더 추가되고 개선할 게 생기지 않겠는가..

 

 

결론은,,,

그냥 빨리 만들 수 있는 걸로 만들어서,

서비스 오픈부터 하자...

그게 내가 생각하는 최고의 개발자다...

 

 

 

 

 

 

 

DB를 AWS Aurora RDS로 옮겼더니,

문자메시지 발송이 안되는 현상을 발견,,,

 

혹시나 싶어서 발송예정시간을 -9 로 당겨보니, 

문자 발송이 되네..

 

timezone 문제라고 생각해서, 

AWS Aurora RDS 쿼리날려보니,

UTC 로 되어있음... 

 

아래대로 파라미터 그룹을 생성후 (클러스터 파라미터 그룹)

 

DB 구성에서 파라미터 그룹을 해당 그룹으로 변경하고 적용해주면 됨

 

SELECT @@GLOBAL.time_zone, @@SESSION.time_zone;

 

 

https://velog.io/@chrkb1569/Jenkins-Swapping%EC%9D%84-%ED%99%9C%EC%9A%A9%ED%95%9C-%ED%94%84%EB%A6%AC%ED%8B%B0%EC%96%B4-%EB%AC%B8%EC%A0%9C-%ED%95%B4%EA%B2%B0

 

2013년, 가을. 결혼을 앞두고 신혼집을 찾아나섰습니다.

 

재미삼아 복정역 출구에 즐비한 위례신도시 모델하우스도 가보았지요,

제 기억에 당시 분양가는 5억정도 했던 것 같습니다.

그 당시에 그 금액은 저희 같은 신혼부부에게는 너무나 큰 금액이어서,, '비싸다 비싸다' 만 연발하고 나왔지요.

 

당시 부영 모델하우스......

 

 

둘이 가진 돈 모아서 그 돈으로 혼수하고 예단하고 결혼비용으로 쓰구요,

남은 8천만원으로 대출 받고 성남 언덕배기 소형평수 아파트 1억2천짜리 전세 계약을 합니다.

계약하고 진행 하던 중에 갑자기 집주인이 전세자금 대출에 동의를 해주지 않는다고 해서,

부랴부랴 신용대출로 4천받아서 잔금을 치뤘습니다.

어리다보니 부동산 사장님하고 다툴줄도 몰랐어요... 뭐라하면 그런가보다 했지요..

 

이때, 속이 상해서 '집을 사야겠다' 라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그래서 청약 교육이란 것도 받고, 부동산 카페도 가입해서 부지런히 검색했습니다.

곧 광교역 인근 소형 신축 분양권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신분당선이 곧 개통예정이고 도보권에다가 신축!!!

근데 분양가는 3억인데 P가 6천이었습니다......

 

와이프와 저는 그냥 저기서 쭉 살자라는 생각으로 대출을 받고 분양권을 사게됩니다.

부동산에서 만난 매도인은 분명 제 또래인거 같은데,,,

6천을 번다고 생각하니, 너무나 부러웠습니다.

 

그때가 2015년 무렵이고 슬슬 부동산에 훈풍이 불기 시작할 때였던 듯 합니다.

 

나도 저렇게 분양권 팔아서 벌어봐야지.. 생각을 매일 하게 되었고,

와이프와 저는 주말마다 모델하우스 데이트를 합니다.

커피는 모델하우스에서 마시고,

집에 휴지는 모델하우스 각티슈로 쌓여갑니다....

 

신규 청약을 알아보고 청약을 넣습니다.

 

목감, 다산...

 

목감은 시흥에 있는 곳이고, 다산은 남양주에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거기 왜 넣냐...

들어가서 살 자신이 있냐...

말들이 많습니다.

 

그 당시 다산 첫 민영 분양가

 

다산 유승한내들 센트럴 모델하우스

 

점점 개발이 될거라는 확신에 청약을 넣기로 합니다.

당시만 해도 부동산 분위기는 뜨뜨 미지근한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경쟁률이 2:1 채 안되었습니다.

 

먼저 목감에 푸르지오 25평에 넣은 청약이 당첨됩니다. 경쟁률 1.4:1

축하는 커녕 주변의 걱정을 뒤로하고 계약을 하게됩니다.

 

그 후로 다산에 유승한내들 34평에 넣은 청약이 예비로 당첨이 됩니다. 경쟁률 2.5:1

예비순번은 21번...

계약일에 혹시나 하는 마음에 준비해서 달려갑니다.

예비순번 1번이 동호수를 뽑았는데, 2층이 나오더군요..... 정말인지 조금 불쌍했습니다 ㅠㅠ

나중에 보니 그 분은 계약을 안하시더라고요..

 

추첨을 하는 중에 고층이 나오자 사람들의 탄성소리가 들려옵니다. (정말인지 부러움..)

드디어 저의 차례,,, 두근두근..

다행히 13층을 뽑았습니다.

 

 

 

전화로 와이프와 기쁨을 만끽하고 계약금을 쏘고 계약서를 작성하고 왔습니다.

 

1주택 2 분양권이 되는 순간입니다.

 

한편으로는 너무 무리하는 거 아닌가.. 위험한데.. 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합니다.

 

 

다음 편에 계속...

 

 

[neptune@localhost logstash]$ locale -a | grep ko
locale: Cannot set LC_CTYPE to default loca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ocale: Cannot set LC_MESSAGES to default locale: No such file or directory
locale: Cannot set LC_COLLATE to default loca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렇게 나오면 한글 팩이 없는 것...

 

sudo dnf install glibc-langpack-ko -y

 

설치 후, 

 

시스템 언어 설정 해줌

 

sudo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Rocky Linux와 같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firewalld와 iptables는 모두 방화벽을 관리하는 도구이지만, 그 작동 방식과 관리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두 도구는 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필터링하고 방화벽 규칙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1. firewalld

  • 동적 방화벽 관리 도구로, 시스템이 동작 중일 때도 방화벽 규칙을 즉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결을 끊거나 네트워크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방화벽 규칙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firewalld는 영역(zone) 개념을 도입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다양한 보안 수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각 영역에는 다른 방화벽 규칙 세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설정 파일이 XML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령어는 직관적입니다.
  • 추상화 레이어를 제공하여 고급 설정을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주로 nftables 백엔드를 사용합니다. 이는 iptables와 유사한 역할을 하지만 더 최신의 방화벽 기술입니다.

장점:

  • 동적인 설정 변경이 가능.
  • 직관적인 영역 기반 관리.
  • 복잡한 설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

2. iptables

  • 전통적인 방화벽 도구로, 네트워크 패킷 필터링을 위한 명령 줄 도구입니다.
  • iptables는 statelessstateful 패킷 필터링을 지원합니다.
  • 규칙을 설정할 때 실시간으로 즉각 적용이 가능하지만, 규칙을 수정하려면 보통 전체 규칙 세트를 다시 로드해야 합니다.
  • 사전 정의된 체인과 테이블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필터링합니다. 체인은 INPUT, FORWARD, OUTPUT 등이고, 테이블은 필터, NAT, Mangle 등으로 나뉩니다.
  • iptables는 리눅스 방화벽 관리에서 오랫동안 표준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nftables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장점:

  • 고도로 세밀한 설정 가능.
  • 방화벽의 동작 방식을 매우 구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
  • 오랜 시간 동안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어 온 안정적인 도구.

주요 차이점

  • 관리 방식: firewalld는 iptables보다 더 높은 수준의 추상화와 유연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반면, iptables는 더 세밀하고 구체적인 제어가 가능하지만, 설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 동적 vs 정적: firewalld는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네트워크 연결을 끊지 않고도 규칙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iptables는 규칙을 변경할 때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백엔드: firewalld는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 nftables를 기본 백엔드로 사용하지만, iptables는 오래된 방화벽 관리 도구로 iptables 프레임워크 자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고 동적인 방화벽 관리를 원한다면 firewalld를, 더 세밀한 규칙 제어를 원한다면 iptable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고 Chat GPT 에서 얘기해준다.,

 

기존 Centos 에서 iptables로 방화벽 관리를 주로 했었는데,

Rocky Linux 에서는 firewalld를 사용해서 방화벽 관리를 하고 있다.

 

커맨드 라인으로 일일이 추가/관리하는게 번거로워서..

 

<?xml version="1.0" encoding="utf-8"?>
<service>
  <short>gitlab</short>
  <description>Grafana is an open platform for beautiful analytics and monitoring</description>
  <port protocol="tcp" port="4963"/>
  <port protocol="tcp" port="4922"/>
</service>

/usr/lib/firewalld/services/gitlab.xml

 

이렇게 서비스 파일을 만들고,

 

<?xml version="1.0" encoding="utf-8"?>
<zone>
  <short>Public</short>
  <description>For use in public areas. You do not trust the other computers on networks to not harm your computer. Only selected incoming connections are accepted.</description>
  <service name="ssh"/>
  <service name="dhcpv6-client"/>
  <service name="cockpit"/>
  <service name="logstash"/>
  <service name="kibana"/>
  <service name="grafana"/>
  <service name="elasticsearch"/>
  <service name="prometheus"/>
  <service name="sonarqube"/>
  <service name="registry"/>
  <service name="gitlab"/>
</zone>

/etc/firewalld/zones/public.xml

 

여기에 서비스를 등록한다.

 

그리고 나서,

 

sudo systemctl start firewalld

 

자동재시작 등록은

sudo systemctl enable firewalld

+ Recent posts